공지사항

KBS한국어진흥원의 소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지사항

국가공인 KBS한국어능력시험

제11회 KBS한국어능력시험 최고득점자 시험후기

작성자 KBS한국어진흥원 작성일 2008-08-21 조회수 2,219
수험생
OOO
후기 내용
“우리말은 틀리면서 외국어만 잘하면 엘리트인 줄 아는 사람들을 보면 참 안타깝습니다.” 평소에 제가 남들보다 약간 국어를 잘한다고는 생각했지만, 이렇게 KBS한국어능력시험에서 최고점을 받으리라고는 상상도 못 했습니다. 언론학을 전공하고 있고, 또 장차 언론사에서 일할 사람에게 국어는 늘 게을리 하면 안 되는 공부였습니다. 한마디로 특별히 소개할 만큼 대단한 비법은 없다는 말입니다. 제가 지극히 당연한 이야기만 늘어놓더라도 실망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우선, 어릴 적부터 책을 많이 읽은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지식층의 집안에서 자란 게 아니라 수준 높은 책을 자연스레 접하지는 못했지만, 초등학교 때부터 집에 있는 위인 전집, 세계사 전집 등을 읽고, 읽은 것 또 읽기를 반복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지식을 습득한 게 아니라 글을 읽는 속도가 빨라지고 내용을 파악하는 능력을 체득할 수 있었습니다. 사실 저는 국어든 외국어든 읽기 시험에서 시간이 부족했던 적은 한 번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초등학교 때부터 한자를 꾸준히 공부했습니다. 한국어와 한자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국어를 막 공부하는 어린이들이 한자 공부를 하는 것은 영어 공부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한자를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은 우리말로 된 글을 이해하는 속도와 정도가 확연히 다르거든요. 어려운 건 모르더라도 기본적인 건 알아야 한다는 거죠. 저는 방학을 맞아 한자능력검정시험 2급과 KBS한국어능력시험 고득점을 동시에 목표로 두고 공부했습니다. 그래서 몇 문제 나온 한자 문제까지 다 맞혀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미 지나간 어린 시절, 책도 많이 못 읽고 한자 공부도 안 한 사람은 어떻게 하냐고 물으시는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부족하지만 제가 공부한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제 국어 실력이 갑자기 부쩍 늘게 된 것은 수능 공부를 할 때였습니다. 저는 대학교를 중퇴하고 24살에 새로 수능 공부를 했는데요. 이미 머리가 굳어서 공부하기란 정말 쉽지 않았고, 그중에서도 언어 영역이 최고로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으로 해오름 이효상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한순간 깨닫게 되었습니다. 아! 국어 독해란 이런 것이로구나! 하고요. (이렇게 쓰니 꼭 광고 같군요. 하지만 선생님은 더 이상 강의를 하지 않으십니다.^^) 그리고 수능 언어영역과 KBS한국어능력시험은 독해 부분이 거의 비슷한 유형이라 큰 어려움이 없었습니다. 많은 지원자들이 어려운 공무원 수험서를 보는데, 차라리 수능 기출 문제를 공부하시기를 권장합니다. 독해뿐 아니라 듣기, 쓰기까지 전 영역이 KBS한국어능력시험과 가장 유사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모의고사나 일반 문제집은 기출 문제에 비해 문제의 질이 좋지 않기 때문에 추천하지 않습니다. 문학과 비문학의 경우, 지문의 내용만 다를 뿐 기본적인 독해 방법은 똑같습니다. 단락의 첫머리만 읽는다거나 하는 방법은 문제를 푸는 시간을 단축시키지도 못하고 정답률도 높이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읽었던 부분을 또 읽게 만드는 주범이죠. 저는 찬찬히 지문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되, 중요한 부분에는 눈에 띄게 표시해 두었습니다. 지문보다 문제를 먼저 읽는 것은 기본이겠죠? 그리고 항상 가장 마지막 단락의 주제가 글 전체의 주제일 확률이 90% 이상이라는 것,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문학 역시 굳이 제목과 작가 같은 것을 외울 필요 없이, 비문학과 똑같다고 생각하고 푸시면 공부할 양이 줄어듭니다. 맞춤법과 문법은 『바른 말 고운 말』, 『우리말 나들이』, 『한국어가 있다』 같은 책들을 열심히 읽었습니다. 예전에 KBS 우리말 겨루기에 나가려고 공부한 겁니다. 그냥 막 외우는 것보다 쉽고 재미있게 설명이 되어 있어서 저절로 머리에 들어오더군요. 그때 우리말 겨루기에서 2등밖에 못 했는데... 다시 나가면 1등할 수 있을까요? ㅎㅎ 그리고 듣기는 꼼꼼히 적었습니다. 적을 수 있는 건 다. 그렇게 적어본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좋은 결과가 나왔네요. 이렇게 적어놓으면 보기 몇 개가 헷갈릴 때 아주 유용하더라고요. 듣기에서 헷갈리는 것은 문제가 어려운 게 아니라 제가 기억을 못 하는 것이었습니다. 반드시 들려주는 내용 안에 정답의 결정적 단서가 있더군요. 이런 글을 적고 보니 제가 꼭 무슨 대단할 일이라도 한 것 같네요. 우리말을 제대로 쓰는 것은 일상이 되어야 합니다. 우리말은 틀리면서 외국어만 잘하면 엘리트인 줄 아는 사람들을 보면 참 안타깝습니다. 단순히 시험이기 때문에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이기 때문에 우리말을 사랑하고 바르게 사용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합시다.